분류 전체보기 56

조급함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압박

적당한 압박과 스트레스는 우리에게 목표를 달성하도로고 우리를 도와준다.해야 하는 일이기에 우리는 각성하여 목표를 달성한다.꼭 해야 하는 일, 안 하면 정말 큰일 나는 일들이 우리 앞에 닥쳐오면,우리는 어떻게든 끝내게 된다. 무조건 해야 하는 일이기 때문이다. 문제는 이게 만성적으로 되어 너무 과도할 때 일어난다.스트레스나 압박이 너무 없어 안하는 것도 문제지만너무 많아서 조급함이 생기는 것도 문제가 된다. 조급함은 우리가 제대로 된 판단을 하지 못하게 만들어버린다.이는 단순히 마감 일이 다가와 압박을 받는 것과는 다르다.이는 일종의 강박적인 통제욕구다. 조급함의 사례(나의 사례)군대에 있을 때 나는 힘든 것을 잊기 위해 독서를 했다.그때는 독서 자체가 목적이었다.독서로 무언가를 얻기 독서 자체를 통해 힐..

나의 길을 가다보면 필연적으로 마주치는 저항들

우리 모두는 누구나 자신만의 고유한 특징들을 가지고 있다.그렇기 때문에 추구하는 것도 다르고, 좋아하는 일들도 다 다르다.이런 고유한 특징들을 세상에 펼치기 위해선대다수가 생각하는 '표준'이라는 것에서 벗어날 필요가 있다. 세상이 제시하는 표준세상은 우리에게 일종의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학교를 나오고, 대학교를 나와서, 취직을 하는 가이드라인.대기업에 취직하면 정말 성공한 것, 촉망받는 직업을 가지면 성공한 것.이렇게만 하면 부족함 없이 살 수 있다는 것을 우리에게 알려준다. 이 제안은 어떤 면에서는 좋은 제안이다.월급이 따박따박 나오는 이 안정감은 다른 것에 비할 수 없다.회사에서 하는 일이 나와 잘 맞는다면 이만큼 좋은 것도 없다.회사생활과 사회생활이 잘 맞는 사람이라면 정말 좋은 일이다. 그러나 그..

실패는 고통스럽다. 그러나 나름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

실패라는 말을 들으면 우리는 부정적인 느낌이 든다.패배자, 가난, 고통, 두려움, 슬픔, 무기력함.이런 부정적인 이미지들은 실패를 두려워하게 만든다. 실패는 실제로도 너무 고통스럽다.목표를 향해 달려갔지만 이루지 못했을 때우리는 상처를 입고 큰 슬픔과 자기 의심에 빠져든다. 내가 정말 할 수 있는 걸까? 괜히 안되는 거 사서 고생하는 거 아니야?남들은 다 하는 건데 왜 나는 안되지?실패의 충격이 너무 크면 그냥 다 포기해버리고 만다. 실패가 왜 두려울까 고등학교 때 나는 나름 이름있는 자사고를 다녔다.대부분의 자사고가 그렇듯 이런 곳은 전국단위로 천재들이 모이는 곳이다.어렸을 때 부터 교육을 잘 받고 온 천재들은 습득속도가 남다르다.내가 겨우겨우 따라갈 때 그들은 이미 저 멀리서 심화과정을 거치는 엄청난..

현실의 벽에 막혀 힘든 사람들

항상 느끼는 거지만, 나는 시스템 안에서 살아가기에는 너무나도 힘든 성격이다.어릴 때 경험하고 느낀 압박과 체벌 시스템은 조용히 내 안에서 반항심으로 바뀌었다.그래서 규제와 시스템, 다른 사람들처럼 이미 닦인 길을 가는 것은 내 체질이 아니다. 다른 길을 가고 싶어 이런 상황과 성격으로 나는 취직 대신 프리랜서, 유튜브, 창업 같은 방법을 찾아봤다.창업하기 위해 이런저런 책도 찾아보고, 주식도 공부해보고, 블로그도 해봤다.블로그를 시도한 결과가 이 블로그였다.그 당시 내가 아는 유일한 지식은 전자공학이였기 때문에,이를 중심주제로 글을 써왔다. 처음에는 희망으로 가득찼다.내 머릿속에서는 이미 난 성공한 사람이었다.집에서 뒹굴거리며 조금만 일하며, 큰돈을 버는 나를 상상하면내 머릿속에는 도파민이 뿜뿜 돌았다..

Flutter에서 리스트 생성하기 (ListView, ListView.builder, ListView. separated)

ListView는 리스트를 생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위젯입니다.거두절미하고 어떻게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ListView 사용하기ListView는 기본적으로 children properties 안에 위젯을 넣으면 됩니다.ListView( children: [ //넣을 위젯 ],), 그 외에도 많은 properties가 있지만 자세한 사항은 여기서 설명하지는 않겠습니다.자세한 사항은 아래 사이트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ListView class - widgets library - Dart APIA scrollable list of widgets arranged linearly. ListView is the most commonly used scrolling widget. It displays ..

플러터 (flutter) 2024.08.11

상대에게 영향력을 끼치는 방법

왜 상대에게 영향력을 끼쳐야 할까? 우리는 살면서 많은 것을 배운다. 배우는 것은 친구와 잘 지내는 방법일 수도 있고, 수학이나 국어같은 지식일 수도 있다. 그러나 우리의 시간에는 한계가 있고, 시간 안에 배울 수 있는 양에 비해 지식의 양은 너무나도 방대하다. 현대 사회와 같은 고도로 발달된 문명은 유지만으로도 엄청난 양의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다. 우리가 그 모든 것을 할 수는 없다. 우리가 흔히 쓰는 컴퓨터는 만들기 위해 세계 여러나라에서 부품들을 들여와야 하고, 그리고 그 부품을 조립하는 노동자들이 필요하고, 만든 제품을 유통하는 사람들이 필요하며, 그리고 그 제품을 설계하고 기획하는 사람들이 필요하다. 이 모든 것을 한 사람이 한다면 일생동안 몇개의 컴퓨터를 만들 수 있을지 모르겠다. 아마 그 양..

전략과 전술 2024.02.22

삶이 힘들고 우울한 사람들을 위해

중요: 필자는 심리에 대한 전문적 공부를 하지 않았다. 그러니 정말 힘들고 나쁜 생각이 든다면 전문가를 도움을 받길 바란다. 문제가 있을 때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우리는 몸이 아플 때 병원 간다고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힘들다고 해서 현대의학의 도움을 받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다. 군대를 갔다 오고 복학한 이후 필자의 삶은 방구석 폐인 그 자체였다. 복학할 때 코로나가 터졌기 때문에 필자는 남은 대학시절을 집 안에서 보낼 수밖에 없었다. 처음에는 다시 사람들을 만나려 노력했지만, 필자를 기억하는 사람은 별로 없었다. 그래서 복학한 이후 사람들을 만나려 계획을 세웠었다. 그러나 코로나 시기에 사람들을 만나는 것은 어려웠고, 애초에 연락을 받는 사람도 별로 없었다. 세상에게서 ..

전략과 전술 2024.02.19

평정심을 위해 감정을 다루는 방법 - 감정을 받아들이기

이 글에서는 평정심을 유지하기 위해 부정적 감정을 다루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한다. 앞선 글에서 평정심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다. 2024.01.22 - [전략과 전술] - 평정심을 유지하는 법 - 내면의 무게추 이용하기 평정심을 유지하는 법 - 내면의 무게추 이용하기 계획을 실행할 때 방해가 되는 것들 계획을 세우고 실행을 하다 보면 가장 큰 적은 자기 자신이라는 것을 알게 된다. 조그마한 일에도 흥분하거나 좌절하고, 타인의 말과 행동에 많은 영향을 받 ti-project-11.tistory.com 이 글에선 평정심을 위해 긍정적 감정과 부정적 감정 사이의 균형을 이룰 필요가 있고,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내면의 무게추를 이용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았다. 자세한 내용은 글을 참..

전략과 전술 2024.02.12

우리 마음을 비판하는데 특화된 내면의 비판자

내 안의 최고 부정왕, 내면의 비판자 당신은 지금 굉장히 중요허지만 될지 안 될지 모르는 일을 해내야 한다. 그 일은 면접이 될 수도 있고 시험이 될 수도 있다. 당신은 그 일을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그 결실을 맺고자 한다. 그때 당신의 내면에서 이런 말이 속삭인다. ‘미안한데 넌 그걸 해낼 수 없어. 넌 실패하고 말 거야. 너의 노력은 물거품이 되겠지’ 당신은 마음속의 그 말을 듣고 불안감에 휩싸인다. 정말 내가 실패하면 어떡하지. 가서 아무것도 못하고 오는 거 아니야? 내가 잘할 수 있을까? 당신은 실제 겪기 전까지 이런 마음을 계속해서 가지게 된다. 누구나 한 번쯤은 겪을 만한 이야기다. 누구나 중요한 일을 하기 전에 떨리는 것은 똑같다. 또한 누구나 마음속에서 들리는 부정적 목소리가 있다. 이..

전략과 전술 2024.02.09

우리는 왜 상대방에게 속을까? - 비언어 읽기

사람들은 모두 연기하는 배우이다. 아주 오래전부터 사람들은 서로 협력해야 살아남을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서로의 신호를 잘 파악하는 능력이 굉장히 중요했다. 현재처럼 언어가 없었던 시기에, 우리 조상들은 상대의 표정이나 몸짓을 관찰하여 상대방이 어떤 것을 느끼고, 어떤 것을 원하는지 알아냈다. 이런 능력 덕분에 언어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서로 협력할 수 있었다. 협력할 수 있었기 때문에 사람들은 집단을 이루어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언어가 발명되고, 사람들이 언어를 통해 자신의 뜻을 전달할 수 있게 되면서 인류는 선대의 지식을 후대에 남길 수 있게 되었고, 이로 인해 인류는 어마어마한 진보를 이루어냈다. 그러나 어떤 것이든 좋은 점이 있다면 그 반대편에는 나쁜 점이 ..

전략과 전술 2024.02.08